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역학, 설계 그리고 기구 엔지니어

기구 엔지니어와 문제 분석방법 본문

카테고리 없음

기구 엔지니어와 문제 분석방법

다총33 2020. 11. 26. 06:24
반응형

기구 엔지니어가 수행하는 문제 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기구 엔지니어의 일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다른 모든 엔지니어와 다른 모든 직종 사람들과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기구 엔지니어의 일을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기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다른 분야의 업무들과 차이는 '기구적'이라는 부분입니다. 기구적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고 손에 만져지는 물건들이라는 의미라고 보셔도 됩니다. 따라서 눈에 보이지 않아 고생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코드를 하나씩 보면서 하는 코드 리뷰도 아니고 특수한 환경에서 검토를 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기구 엔지니어가 아니라도 제품을 보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런 점이 업무를 힘들게 할 수도 있습니다. 누구나 볼 수 있지만 아무나 문제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구 엔지니어도 방법도 훈련과 숙달을 통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경력도 관련 경험도 없는 유관부서 임원들이 지나가다 아무런 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가 많이 난감한 경우입니다.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이런 식으로 배가 산으로 가는 것을 종종 보게 됩니다.

한 가지 에피소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회의실에 모여서 실무자가 치열한 토론을 하였습니다. 장시간 토론을 거쳐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회의를 마치고 실무자가 업무 진행을 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때 회사의 임원이 지나갑니다. 잠시 보더니 이거 이렇게 하는 게 낫지 않아라고 한 마디 내뱉습니다. 그 사람은 그 분야의 전문가도 아닙니다. 그리고 그 의견은 도출된 결론과 다릅니다. 갑자기 분위기가 바뀌더니 그 임원이 한 말대로 결정이 번복되었습니다. 그렇게 제품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몇 년뒤 원래 도출한 결론에 따른 제품이 다시 출시되었습니다. 회사는 때로는 이런 식으로 돌아갑니다. 우리는 가끔 우리 자신에게 생각을 주지 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임원도 회사원이고 우리도 회사원입니다. 회사를 생각한다면 전문가가 아닌 사람의 의견에 휘둘리지 않아야 될 때가 있습니다. 물론 쉽지 않을 것입니다. 임원들도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그 사람의 한계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멍청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벌거벗은 임금님처럼 아무도 진실을 말해주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욱 멍청하게 옷을 벗고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굳이 임원까지 아니더라도 직급이 높아지거나 나이가 많아질수록 주변에서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없어집니다. 그것이 자신이 잘하고 있다고 오해해서는 안 됩니다. 껄끄러운 이야기를 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인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 훈련을 계속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여하튼 다시 주제로 돌아가서 기구 엔지니어는 누구나 볼 수 있는 실물을 문제 분석하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문제 분석보다 어렵지 않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날로그 기술이라는 것입니다. 입력 값이 0과 1처럼 분명히 나누어져 있고 일관된 값을 넣으면 일관된 결과값이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상황에서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은 매우 짧을 수도 있습니다. 그 찰나의 순간을 놓치게 되면 정말 미궁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기구 문제 분석을 할 때는 순간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문제가 발생한 순간 집중해서 봐야 합니다. 그리고 섣불리 주변 환경을 강제로 변화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갑작스레 주변 부품을 빼거나 끼게 되면 문제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고 나면 다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문제가 사라지는 좋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발 도중에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면 그게 가장 최악입니다. 제품이 출시되고 시장에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순간 볼 수 있는 모든 것을 검토해야 합니다. 그 순간을 놓치게 되면 나중에 엄청나게 힘들게 될 수 있습니다.

부품끼리 간섭돼서 문제가 발생한 것을 분석하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캐드를 보니 실제 부품이 간섭상태가 아닙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아마도 두 부품 사이에 충분한 갭을 주지 않아서일 것입니다. 부품은 캐드와 동일하게 치수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부품의 크기에 따라서 공차가 더욱 커집니다. 즉 부품 사이에 간격을 공차를 고려하지 않고 설정한다면 언제든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될 경우 캐드에서는 검토할 수 없었던 간섭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목업이라는 시제품을 만드는 단계에서 검출할 수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갭이 충분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는 대부분 금형 단계에서 확인을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비용 문제로 목업은 많이 만들 수 없습니다. 금형 단계에 가야 많은 제품을 만들어 보게 됩니다. 많은 제품을 만들 때 많은 부품을 사출 하게 됩니다. 이때 다양한 공차를 가진 부품들이 만들어집니다. 주변 부품들과 여러 조건에서 결합이 되고 이때 공차로 인한 문제를 발결할 수 있습니다. 최선은 금형 단계에서 문제 발생한 것을 검토하는 것이 아닙니다. 설계 단계에서 문제를 예측하고 정확한 공차와 갭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부분은 숙련되면 자연히 개선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많은 연차를 갖고 있다고 이 부분을 정확히 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개인에 따라서 공차에 대한 개념을 갖고 설계를 하지 않는다면 연차가 올라간다 한들 갭 관련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학습을 꾸준히 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누구나 문제를 볼 수 있고 비판을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기구 문제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Comments